언어 자료구조 알고리즘/디딤돌 C언어

63. 함수명 결정

언제나휴일 2016. 1. 1. 12:41
반응형

 

실습 시나리오

도메인(Domain) 분석
함수명 결정
함수 원형 결정
테스트 로직 작성
구현

함수 이름은 사용하는 개발자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지 이해하기 쉽게 만드면 좋은 이름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일반적으로 함수 이름은 동사로 만들어 이해하기 쉽게 만들고 있어요.
여러분이 만든 함수를 다른 개발자가 이름만 보고 어떠한 일을 수행하는지 예측할 수 있다면 개발 비용을 줄일 수 있겠죠.  
이제 여러분께서는 해야 할 기능에 알맞는 함수 이름을 결정한 후에 책을 보세요.  

다음은 함수 이름을 정한 예입니다.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설명은 생략할게요.
 
a. 범위 내의 정수 합계를 구하는 함수
GetSumInBoundary
 
b. 특정 수가 소수(Prime Number)인지 판단하는 함수
IsPrime
 
c. 범위 내의 정수중에 소수(Prime Number)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GetCountIsPrime
 
d. n 개의 정수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
GetSum
 
e. 두 수를 바꾸는 함수
Swap
 
f. n 개의 정수에서 제일 큰 정수가 있는 메모리 주소를 구하는 함수
GetMaxPos
 
g. n 개의 정수를 크기 순으로 정렬하는 함수(내림차순, 선택 정렬 알고리즘으로 정렬)
SelectionSort
 
이 책에서 이름을 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사용할게요.
이름을 정하는 규칙을 만들면 이해하기 쉬운 코드가 만들 수 있어요.
 
매크로 상수: 대문자와 _의 조합으로 첫 자는 대문자로 시작
: #define    MAX_NUM    30
 
태그: 첫 자는 _로 시작하고 두 번째 문자는 대문자, 나머지 문자는 소문자이며 명사
: struct _Student
 
타입: 첫 자는 대문자이고 나머지는 소문자, 명사
: typedef struct _Student Student
 
함수: 단어의 시작은 대문자, 나머지는 소문자, 동사
: GetStr
 
변수: 소문자와 숫자, _의 조합, 명사
: int num1; int count_stu;
 
참고로 많은 개발자가 많이 사용하는 명명법이 있어요.
대표적으로 헝가리식 표기법과 낙타의 등 표기법, 파스칼 표기법이 있답니다.
 
헝가리식 표기법은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짧게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이예요.
가령 문자열을 str, 개수를 cnt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죠.
 
낙타의 등 표기법은 단어의 의미가 바뀌는 부분은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getNum, isPrimeNum 등으로 표기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파스칼 표기법도 낙타의 등 표기법의 하나인데 첫 단어를 대문자로 정의한답니다.
GetNum, IsPrimeNum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죠.

낙타의 등 표기법을 카멜 표기법 혹은 단봉낙타 표기법이라고 불러요.
그리고 파스칼 표기법은 쌍봉 낙타 표기법으로 불리죠.

반응형

'언어 자료구조 알고리즘 > 디딤돌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68. 문자열  (0) 2016.04.17
67. 정리하기  (0) 2016.01.01
66. 구현  (0) 2016.01.01
65.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0) 2016.01.01
64. 함수 원형 결정  (0) 2016.01.01
62. 도메인 분석  (0) 2016.01.01
61. 함수 만들기 실습 시나리오  (0) 2016.01.01
60. 상수화 변수  (0) 2016.01.01
59. 정적 변수  (0) 2016.01.01
58. 지역변수  (0) 2016.01.01